지난 게시물에서 열심히 카피 트레이딩 수수료에 대해 분석한 만큼 이젠 실행해보기로 했다.

 

카피 트레이딩 수수료 총 정리 (비트겟 바이비트 주멕스 MEXC)

0. 수수료가 중요한 이유 현재 선물 거래소에서 가장 핫한 기능 중 하나가 카피 트레이딩입니다. 주멕스, 비트겟, MEXC, 바이비트가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인 거래소인데요. 자기보다

zoomin-finance.tistory.com

 

코인은 적립식 매수만 해봤지, 트레이딩 경험은 전무하므로

카피 트레이딩의 기초가 되는 선물 거래부터 시작해서 카피 트레이딩 마스터 (?)가 되어보기로...

 

먼저 지난 게시물에서 수수료 측면에서 가장 저렴하여 찍먹 해보기 좋았던 주멕스 가입부터 시작.

이후 카피 트레이딩이 나와 맞나면 비트겟으로 넘어갈듯하다.

 

일단 돈 벌러 가려면 회원가입부터 해야 한다.

 

1. 주멕스 회원가입

주멕스 링크로 들어가 우측 상단에 Sign up 누르면 회원가입 창이 나온다.

핸드폰 혹은 이메일로 손쉽게 가입 가능하다. 매우 간단하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

주멕스 회원가입 창

 

2. 카피 트레이딩의 기본 : 선물 거래 

주멕스 가입을 마치고 나면 간단하게 선물 거래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팝업 영상이 뜬다.

처음 접하는 개념이라 헷갈리는 게 많았지만 한국어로 찾아서 어느 정도 개념을 잡아 정리해놓았다.

주멕스 카피 트레이딩 선물거래 초보자 가이드 창

<주멕스 수수료 30% 할인 가입링크>

1) 격리 vs 교차

먼저 가장 중요한 '교차 마진 모드' (Cross margin mode)와 '격리 마진 모드' (Isolated margin mode)의 차이!

 

격리는 격리란 뜻에서 보듯, 다른 포지션과 별개로 내가 열어놓은 포지션이 내가 투입한 금액만큼만 사용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100만 원으로 3배 숏을 격리로 잡으면 청산이 되던 수익을 내던 내가 투입한 100만 원 내에서만 득실이 발생한다는 것.

그냥 한마디로 우리가 직관적으로 생각하는 기본 투자 개념이 격리.

 

반면 교차는 내가 선물 계좌에 가지고 있는 돈 전부를 증거금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내 통장에 1000만 원이 있고 100만 원으로 50배 롱을 잡았다고 치자.

그리고 2% 하락했다고 가정하면 격리라면 청산되었겠지만, 교차의 경우 내 통장의 900만 원을 담보로 잡고 포지션을 유지한다.

고로 통장 잔고 + 포지션 금액인 천만 원을 담보로 -10% 하락 수익률 기준 -1000%까지 버틸 수 있게 되는 거다.

무섭고도 신기한 기능.

 

제일 큰 교차와 격리, 그리고 마진의 개념을 어느 정도 잡았으니 거래 창에 작은 다른 버튼들은 어디 쓰이는지 알아보자.

주멕스 선물 거래 주문창

<주멕스 수수료 30% 할인 가입링크>

 

2) 주문 기능 (Limit, Market, Conditional)

가장 위에 있는 버튼 왼쪽 순서대로 Limit, Market, Conditional이라고 적혀있다.

 

일단 기본적으로 화면을 켜면 Limit으로 설정되어있고,

어디에 쓰는 기능이고 하니 한글로 해석해보면 Limit은 지정가 주문, Market은 시장가 주문, Conditional은 조건 주문이다.

 

각 기능별 화면과 합계 좀 더 풀어서 설명해보면 이렇다.

 

Limit : 이 가격에 이만큼 사줘 ~ 하면 그 가격에 내 주문 순서가 오면 주문 체결, 그렇지 않으면 미체결

주멕스의 가장 기본적인 지정가 주문 Limit 탭
가장 기본적인 지정가 주문 Limit 탭

 

Market : 지금 사고 팔리는 가격에 이만큼 사줘, 주문량만큼 바로 빠르게 체결. 미체결 없음.

가격은 시장가로 고정되어있으므로 체결량만 조절할 수 있는 주멕스 Market 탭
가격은 시장가로 고정되어있으므로 체결량만 조절할 수 있는 Market 탭

 

Conditional : 어떤 조건이 되면 ~만큼 사줘.

트리커 가격&#44; 인덱스 등 다양한 조건을 만들 수 있는 주멕스 거래소의 Conditional 탭
트리커 가격, 인덱스 등 다양한 조건을 만들 수 있는 Conditional 탭

 

3) 기타 주문 관련 기능

마지막으로 각 주문창에 있는 공통 체크 버튼에 대한 기능 정리.

주멕스 거래소의 기타 주문 관련 기능 이미지

Long with TP/SL : 롱 주문에 대해 손절, 익절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가격이 되면 자동으로 손절 혹은 익절이 되는 기능.

Short with TP/SL : 마찬가지로 숏 주문에 대해 손절, 익절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가격이 되면 자동으로 손절 혹은 익절.

 

Post-Only : 지정가 주문이 아닌 경우, 모든 주문 무효.

시장가로 주문 나가는 경우 보통 지정가에 비해 수수료가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

 

Reduce-Only : 포지션 감소만 가능하게 하는 기능.

만약 롱 잡고 있으면 숏으로 포지션을 마감 혹은 축소해야 되는데, 롱을 더 눌러서 반대로 포지션 확대하는 걸 방지하는 기능.

(나 같은 실수 쟁이 쫄보한테 가장 유효할 것으로 보이는 기능)

 

3. 마무리

오늘은 우리가 카피하게 될 선물 거래 기능에 대해서 알아봤다.

 

어차피 카피해놓으면 알아서 해줄 텐데 뭐 이런 걸 알아보냐 할 수 있겠지만, 평생 카피만 하면 실력도 안 늘고

트레이더에게 때 주는 수수료의 압박도 있으므로 언젠가 자립을 위해 최소한 어떤 기능을 카피하는 건지는 아는 것이 기본.

 

트레이더들이 이런 기능을 써서 수익을 내고 있었구나 하는 걸 알아보았으니,

다음 포스팅부터는 본격적으로 어떻게 베낄지 하는 카피 트레이딩 기능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